산성이면서질소비료 인것은?
지식사전
비료
0
2
0

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비료는 질소
비료인데 이 질소비료는 암모니아형과 질산형으로 나누어 생각할수 있으며 암모니아형은 다시
산화되면서 결국 질산형이 되며 이것은 식물이 흡수해서 이용하기 전에는 그자체가 질산과
같은 산성이 되는것입니다. 이때 대개 식물등에서 온 염기와 중화가 되긴 하지만 염기성분이
부족한 경우가 많아서 산성으로 치우치게 됩니다. 또 암모늄염으로 된 황산암모늄, 염화암모늄,
질산암모늄비료는 그자체가 가수분해되면서 산성이 되고 식물이 질소비료를 다량흡수하면서
잔류하는 황산기나 염산성분은 강한 산이므로 토양을 산성으로 만듭니다. 반면 수산화석회,질산석회
탄산석회, 탄산칼륨, 인산칼륨 , 규산질비료 등 그자체가 염기성이며 인산등이 먼저 흡수되거나
탄산염등이 분해되면서 염기가 잔류하게 되어 염기성으로 할수 있는 비료도 있으며 토양이 산성화
된 경우 석회비료나 고토비료등을 사용하므로서 토양을 중화할수 있습니다.